본문 바로가기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액 시뮬레이션|2025년 기준 계산법과 실제 수령액 예시 총정리

욕망의 도라에몽 2025. 4. 8.
퇴직 후에 매달 얼마를 받으며 살아갈 수 있을까?

퇴직을 앞두고 있는 분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고민! 그 중심에 있는 것이 바로 국민연금 수령액입니다.

국민연금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부분 가입하게 되는 국가가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입니다.
그런데 정작 많은 사람들이 “내가 나중에 얼마를 받게 될지”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액이 어떻게 결정되는지, 그리고 2025년 기준 시뮬레이션 방법과 실제 사례를 통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자세하게 설명드립니다.

국민연금이란?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액 시뮬레이션

국민연금(National Pension)은 정부가 운영하는 사회보험 제도로,
가입자가 일정 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부하면 노후, 장애, 사망 등의 경우에 연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1988년 도입된 이후, 현재는 18세 이상 60세 미만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부분 의무 가입 대상입니다.
가입 유형은 크게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 사업장가입자: 직장인
  • 지역가입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
  • 임의가입자: 소득이 없지만 자발적으로 가입한 사람
  • 임의계속가입자: 60세 이후에도 연금을 늘리기 위해 계속 가입하는 사람

국민연금 수령 요건은?

최소 가입기간

  • 10년 이상 가입해야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10년 미만일 경우 연금 대신 일시금(반환일시금)으로 수령하게 됩니다.

수급 개시 나이

  • 출생 연도에 따라 달라지며, 대부분 만 65세부터 수령 가능
    (1969년생 이후는 모두 만 65세 수급)
출생 연도 수급 개시 연령
~1952년생 만 60세
1953~56년생 만 61세
1957~60년생 만 62세
1961~64년생 만 63세
1965~68년생 만 64세
1969년 이후 만 65세

📌 단, 조기노령연금 신청 시 만 60세부터 수령 가능 (감액됨)

국민연금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국민연금 수령액은 크게 아래 3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1. 가입기간

→ 오래 가입할수록 연금액 ↑

2. 평균소득월액(A값)

→ 전체 가입자 평균 소득과 본인의 소득 비교

3. 본인의 소득 수준(B값)

→ 내 실제 납부 기준이 되는 금액

복잡한 공식이 있지만, 간단히 말하자면:

기본연금액 = A값 × 소득대체율 × 가입연수에 따른 계수 + 본인 평균소득의 일부

 

여기서 A값은 국민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을 의미하며, 매년 변동됩니다.
2025년 기준 A값은 약 300만 원 내외로 예상됩니다.

💡 국민연금 수령액 시뮬레이션: 실제 예시로 보기

🎯 예시 ① 평균소득 300만 원, 30년 가입

  • 평균소득(B값): 300만 원
  • 가입기간: 30년
  • 예상 수령 시작 나이: 만 65세

→ 예상 수령액: 약 95만 원/월

🎯 예시 ② 평균소득 250만 원, 25년 가입

→ 예상 수령액: 약 75만 원/월

🎯 예시 ③ 평균소득 180만 원, 15년 가입

→ 예상 수령액: 약 45만 원/월

🎯 예시 ④ 평균소득 120만 원, 10년 가입 (최소 자격)

→ 예상 수령액: 약 25만 원/월

📌 정확한 수치는 개인별 소득 및 가입 시점에 따라 달라집니다.

직접 시뮬레이션 해보는 법

국민연금 수령액은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혹은 '내 곁에 국민연금' 앱을 이용하면 1분 안에 확인 가능!

▶ 국민연금 수령액 확인 방법

퇴직 후 국민연금 수령액 시뮬레이션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접속
  2.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로그인
  3. ‘예상연금조회’ 메뉴 선택
  4. 자동 계산된 예상 수령액 확인

최근 납입 내역, 예상 퇴직 연령, 소득 변화 등을 반영한 실시간 추정이 가능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어떻게 늘릴 수 있을까?

  1. 가입기간을 늘리기
    → 10년보다 20년, 30년 가입할수록 연금이 크게 증가
  2. 임의가입/임의계속가입 활용하기
    → 소득이 없더라도 납입 가능 (주부, 학생 등도 해당)
  3. 수급 연령을 연기하기
    → 만 65세보다 늦게 받으면 연 7.2%씩 최대 36% 증가
  4. 소득을 성실하게 신고하기
    → 너무 낮게 잡힌 소득으로 납입하면 연금도 작게 나옵니다

국민연금으로 노후 생활이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국민연금만으로는 노후생활이 빠듯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연금제도와 함께 준비하면 충분히 보완할 수 있어요.

3층 연금제도로 노후를 든든하게

연금 층 종류 설명
1층 국민연금 기본적 노후 보장
2층 퇴직연금 (DB/DC/IRP) 직장 퇴직금 기반 연금
3층 개인연금 (연금저축, 연금보험) 자발적 가입, 세제 혜택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1. 나는 가입기간이 9년인데 연금 못 받나요?
A. 원칙적으로 10년 이상 가입해야 연금 수령 가능. 부족한 기간은 임의가입(60세 이전) 또는 **임의계속가입(60세 이후)**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

Q2. 국민연금 조기수령이 가능하나요?
A. 만 60세부터 조기노령연금 신청 가능하지만, 월 수령액이 최대 30%까지 감액됩니다.

Q3. 연금 수령 중에도 일하면 국민연금 또 내야 하나요?
A. 일정 소득 이상이면 납부해야 하며, ‘반납형’ 또는 ‘추가 납부형’에 따라 나중에 다시 합산 가능

Q4. 낸 돈보다 못 받는 거 아닌가요?
A. 평균 수령기간(84세 기준)까지 생존 시, 납부액 대비 1.5~2배 이상 수령하는 구조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마무리: 국민연금, 지금이라도 점검하고 준비하세요

국민연금은 국민 모두가 의무적으로 납부하는 가장 기본적인 연금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당신이 은퇴 후에도 매달 받을 수 있는 국가가 보장하는 월급이기도 하죠.

지금까지 얼마를 납부했는지, 앞으로 얼마를 더 납부해야 하는지,
국민연금공단 시뮬레이터를 통해 꼭 확인해보세요.

 

👉 국민연금 수령액 시뮬레이션 바로가기

댓글